2025/05/09 4

‘곰 보호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과 후기

시민의 힘으로 바뀌는 곰의 운명사육곰 문제는 오랫동안 정부 정책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고통을 세상에 알리고 실제 변화를 이끈 것은 다름 아닌 시민의 연대와 실천이었습니다. ‘곰 보호 캠페인’은 단지 동물 애호의 차원을 넘어서, 제도와 정책을 움직이는 직접적인 동력이 되었습니다. 동물자유연대, 곰을 위한 연대, 녹색연합과 같은 국내 단체를 중심으로 SNS 서명 캠페인, 구조 후원, 정책 청원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이 모든 참여가 모여 2023년 사육곰 종식 법안의 통과라는 변화를 만들어 냈습니다. 시민들은 이제 단순한 동정이 아닌, 생명 존중과 정의의 관점에서 곰 사육 문제를 바라보고 있으며, ‘곰을 위한 행동’은 특수한 단체의 일이 아니라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공..

곰 사육 금지를 위한 시민단체의 노력들

사육곰 문제 해결은 시민사회의 손에서 시작되었습니다한국의 사육곰 문제는 수십 년간 제도적 방치 속에서 조용히 지속되었습니다. 정부는 웅담 산업을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용인했고, 사육장은 외부의 눈으로부터 닫혀 있었습니다. 이 상황을 뒤흔든 것은 시민단체들의 끈질긴 문제 제기와 행동이었습니다. 동물자유연대,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카라(KARA), HSI 등 다양한 단체들이 2000년대 초반부터 곰 사육장의 존재와 그 실태를 알리기 위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감성 호소를 넘어 자료 조사, 현장 고발, 구조 활동, 입법 제안, 시민 교육, 국제 캠페인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특히 현장 중심의 접근과 전문적인 정책 제안은 단체 활동의 신뢰도를 높였으며, 정부와 정치권이 ..

사육 곰 종식, 다른 나라는 어떻게 해결했을까?

곰 사육은 아시아 전역의 과제였습니다곰 사육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베트남, 중국, 라오스, 미얀마 등 다수 아시아 국가에서도 수십 년간 웅담 채취를 목적으로 곰이 사육되어 왔습니다. 특히 1980~90년대는 아시아 각국에서 ‘전통의학의 현대화’ 명분 아래 곰을 감금해 웅담을 채취하는 산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습니다. 각국 정부는 초기에 사육을 묵인하거나 산업으로 장려하기도 했으며, 곰은 건강을 위한 ‘약재’라는 이름으로 법적·윤리적 보호에서 배제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국제 동물권 운동과 동물복지 과학의 발전, 그리고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결합되면서, 사육곰 문제는 국제적인 인권 및 생명권 이슈로 부상하기 시작했습니다. 각국은 자국의 전통문화와 경제 이해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동물에..

정부는 왜 곰 사육을 막지 못하는가?

곰 사육은 정부가 허락했고, 끝내는 책임도 정부에게 있습니다한국에서 곰 사육은 개인이 몰래 시작한 일이 아닙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제도화한 정책의 산물입니다. 1981년 정부는 한약재 자립과 외화 절감을 명분으로 베트남 등지에서 반달가슴곰을 수입해 사육하는 것을 허용했고, 전국 농가에 사육을 권장했습니다. 곰은 ‘국가 승인 건강자원’이라는 이름 아래 거래되었고, 웅담 산업은 합법적으로 성장했습니다. 문제는 이후 사회적 인식이 바뀌고, 웅담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으며, 동물권 담론이 부상했음에도 정부는 더 이상 이 산업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내놓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기존 곰은 남겨둔 채 신규 수입만 막는 정책은 사육곰 문제의 종식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단지 ‘현상 유지’에 머문 결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