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문화생활

2025 서울형책방 : 우리 동네 책방이 문화공간으로 변신하는 이유

by 라일락2025 2025. 7. 15.

서울시가 선정한 60곳의 지역 책방이 '2025 서울형책방'으로 거듭납니다. 책을 넘어 문화와 소통의 중심이 되는 새로운 지역서점의 변화를 소개합니다.

 

 

 
2025 서울형책방 : 우리 동네 책방이 문화공간으로 변신하는 이유
2025 서울형책방 <이미지 출처 : 서울시 인스타그램>
 
 

2025 서울형책방: 책방, 문화의 품에 안기다

서울시는 시민의 독서 문화 확산과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 2019년부터 ‘서울형책방’ 사업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올해도 역시, 책과 문화의 경계를 허무는 특별한 프로젝트가 시작됩니다. 이름하여 ‘2025 서울형책방’입니다.올해 선정된 서울형책방은 총 60곳으로, 단순한 책 판매 공간을 넘어 문화를 경험하고 이웃과 소통하는 거점 공간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이 사업은 책방의 개성을 살리면서도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해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울형책방’이란?

‘서울형책방’은 서울시가 동네책방의 문화적 기능 회복과 지역 문화 확산을 위해 추진해 온 사업입니다. 소규모 서점이 지역 커뮤니티의 문화 중심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공간 개선, 프로그램 기획, 콘텐츠 제작 등을 지원합니다. 2025년에는 총 60개의 서점이 선정되었으며, 이들 서점은 최대 4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아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과 공간 개선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책방 운영자 교육, 서점별 브랜딩 콘텐츠 제작, 카드뉴스 및 리플릿 제작 등 다양한 홍보·운영 지원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서울형 책방 지도

https://map.naver.com/p/favorite/sharedPlace/folder/fb8a1dd696af438bb161d0715e8cbe2d/pc?c=11.00,0,0,0,dh

 

네이버 지도 - 저장

공간을 검색합니다. 생활을 연결합니다. 장소, 버스, 지하철, 도로 등 모든 공간의 정보를 하나의 검색으로 연결한 새로운 지도를 만나보세요.

map.naver.com

 

 

 

 

2025 서울형책방, 무엇이 달라졌을까?

운영 기간: 2025년 7월 ~ 10월

운영 서점: 총 60곳 (서울 시내 자치구별 고르게 분포)

주요 변화와 특징

  • 최소 3회 이상의 프로그램 운영 필수: 지역의 특색을 살린 작가와의 만남, 낭독회, 그림책 만들기, 북콘서트, 독서토론 등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움직이는 서울형책방 시범 운영: 10곳의 책방은 이동형 문화공간인 '움직이는 서울형책방'으로 선정되어, 9월 서울야외도서관 행사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 참여형 콘텐츠 확대: 독립출판, 청소년 대상 SF 북클럽, AI와 독서, 번아웃에 대한 이야기 등 시대적 감수성을 반영한 주제로 시민 참여형 콘텐츠가 확대됩니다.

 

 

어디서 참여할 수 있을까?

서울형책방은 서울도서관 홈페이지(lib.seoul.go.kr)와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seoulbookshops)을 통해 전체 참여 서점 명단과 프로그램 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 접수 및 온라인 사전신청 모두 가능하며, 일부 프로그램은 사전 마감될 수 있으니 관심 있는 서점의 SNS와 서울도서관 공식 채널을 통해 수시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동네 책방이 더 특별해지는 시간

서울형책방은 그저 책을 파는 공간을 넘어섭니다. 동네 서점은 이제 작은 전시장이자, 공연장이며, 강연장이기도 합니다. 2025년 서울형책방은 지역성과 책의 매력을 접목해, 시민들의 일상 속에 책과 문화가 녹아들도록 합니다. 익숙한 공간에서 낯선 경험을 하게 되는 일상의 전환점, 그 시발점이 바로 책방이라는 점이 참 인상 깊습니다. 여러분의 ‘단골 책방’이 곧 서울의 문화 아지트가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