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보호정책3 사육곰 매입 계약 체결... 정부는 어디에 있는가? 사육곰 12마리 매입이 결정됐지만, 보호소는 여전히 비어 있고 정부는 침묵 중입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곰을 위한 ‘다음 단계’입니다. 사육곰을 샀습니다. 그런데 갈 곳이 없습니다2024년 8월, 곰보금자리프로젝트 등 네 개 시민단체는 경북 연천군의 한 농가에서 사육곰 12마리를 직접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곰들은 오랜 시간 웅담 채취를 목적으로 사육돼 온 동물들이며, 사육곰 산업의 종식을 앞두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기회를 얻은 듯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다음입니다. 곰들을 옮길 수 있는 보호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며,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습니다. 민간의 힘으로 생명을 구했지만, “이제 어디로 데려가야 할까요?”라는 질문에 누구도 대답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사.. 2025. 8. 16. 곰 사육 종식 앞둔 지금, 남겨진 곰들을 위한 보호 대책이 시급한 이유 곰 사육이 곧 종식되지만, 철창 속 곰들은 여전히 고통받고 있습니다. 현장의 절박한 상황과 민관 협력의 필요성을 다룬 블로그 글입니다. 곰 사육 종식이 가까워졌습니다. 하지만 철창 속 곰들은 여전히 갇혀 있습니다2026년, 드디어 대한민국에서 곰 사육이 전면 금지됩니다. 수십 년간 이어졌던 고통의 사슬이 끊어지는 순간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법은 바뀌었지만, 현재도 뜨거운 철창 안에 갇혀 있는 수많은 곰들은 여전히 구조되지 않은 채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공개된 곰보금자리 프로젝트의 현장보고에 따르면, 서울의 폭염 속 38도 가까운 날씨에 시멘트 바닥에 그대로 방치된 곰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었습니다. 더 이상 사육하지 않아도 되는 곰들이지만, 그들을 안전하게 돌볼 수 있는 보.. 2025. 8. 16. 곰 사육 종식 이후, 우리가 준비해야 할 과제들 곰 사육이 종식된 이후에도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습니다. 구조된 곰의 삶, 생츄어리 확충, 제도 보완 등 현실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곰 사육 종식은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2023년 12월, 국회를 통과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곰 사육 산업 종식을 법제화하는 역사적인 전환점이었습니다. 이로써 2026년부터는 누구도 사육곰을 소유하거나 증식, 운반, 소비할 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이 결정이 곰 사육의 모든 문제가 자동으로 해결됨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남은 사육곰들의 돌봄, 법적 공백 최소화, 생태 복원, 사회 인식 개선 등 후속 과제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진정한 동물 해방은 법의 제정보다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2025. 5. 28. 이전 1 다음